2010년 3월 31일 수요일

2010년 3월 22일 월요일

tftp tftpd

 # yum install tftp

   # yum install ftfp-server

   # vi /etc/xinetd.d/tftp

service tftp

{
        disable = no
        socket_type = dgram
        protocol = udp
        wait = yes
        user = root
        server = /usr/sbin/in.tftpd
        server_args = -s /tftpboot


        disable = yes -->

        per_source = 11
        cps = 100 2
        flags = IPv4
}

   # service xinetd restart


 4) 동작 확인하기

   # netstat -al | grep bootp
   # netstat -al | grep tftp

smb mount 한글

우분투 효리(?) 사용중인데요... UTF8 환경 은근히 짜증도 나네요 한글땜시.

윈도우 xp 공유폴더를 마운트 시킬시 한글이 깨져나오는데 이것도 해결되나요?
하라는 데로 smb.conf에 추가하고
mount -t smbfs //192.168.0.10/pub /mnt/samba
이런식으로 마운트 하는데 한글이 다 깨져나오네요(ㅠㅠ)
어떻게 하면 되는지요???

-o iocharset=cp949 정도 해 주면 보일 것 같네요^^


또는 -o iocharset=cp949,utf8

fstab 에 등록해서 쓰는 것이 편할 것 같네요.
vfat라면 codepage=cp949 해 주시고요.

ls 한글 utf-8

최근에 이런 경우를 당해서 하는 말이지만...

한글이 깨지는건 단순히 ls의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. ls --show-control-chars 하면 제대로 보이죠. 이것땜에 문제 없는데도 불구하고 문제 있는걸로 오인해서 삽질을 한창 했습니다-_-;


smb samba 한글

UTF-8 환경인 ubuntu linux에서는 samba를 사용할 때 파일 이름의 인코딩이 햇갈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. 윈도우만 samba를 사용할 경우가 아니라, 다른 ubuntu linux머신에서도 samba를 통하여 ubuntu에 접근할 때 매우 곤란해 집니다. 이러한 경우 아래의 방법을 통하여 강제로 인코딩을 지정해 줄 수 있습니다.

/etc/samba/smb.conf에서 아래의 부분을 추가로 설정해 줍니다.

[global]
      dos charset = cp949
      display charset = UTF8
      unix charset = UTF8

euc-kr 기반의 리눅스에서는 display charset과 unix charset까지 모두 cp949로 설정하지만, UTF-8기반의 우분투(나 기타 배포판)의 경우에는 위와 같이 인코딩을 나누어 설정해주면 윈도우에서 저장한 한글 파일이름도 UTF-8형태로 서버쪽에 저장이 됩니다.

작은 팁이지만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. :D

한글 fedora 깨짐 putty

Linux,Fedora] 한글깨짐에 대한 해결 방법

/etc/sysconfig/i18n 들어가서 편집

1. UTF-8 모드로 운영할때

LANG="ko_KR.UTF-8"
SUPPORTED="ko_KR.UTF-8:ko_KR.eucKR:ko_KR:ko"
SYSFONT="lat0-sun16" <---여기서 lat0 의 0은 숫자0이다
SYSFONTACM="8859-15"

2. euc_KR 모드로 사용할때
LANG="ko_KR.eucKR"
SUPPORTED="ko_KR.eucKR:ko_KR:ko"
SYSFONT="lat0-sun16"
SYSFONTACM="8859-15"